시험/자격정보

간호조무사

기본정보

자격분류: 국가전문자격증

시행기관: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응시자격: 고졸이상의 학력으로 전문간호교육 이수자

홈페이지: www.kuksiwon.or.kr

자격정보

간호조무사란?

1. 고졸 이상의 학력으로 1,520시간의 전문간호교육을 이수하고 간호조무사 국가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를 말한다.

2. 간호조무사는 의료시설을 이용하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진료업무가 가중됨에 따라 의사, 간호사의 치료 및 간호업무를 보조하는 인력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도입 시행되었다.

3. 간호조무사제도는 1963년 7월 31일 제정된 의료보조원법에 근거하여 1966년 7월 25일 개정된 의료보조원법시행령 제1조에서 현행의 의료기사제도와 더불어 규정하였다.

자격 주요 특징

1. 의료법 제80조 제2항은 간호조무사는 제27조(무면허의료행위 금지규정)에도 불구하고 간호보조 업무에 종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조무사는 의료인이 아니더라도 간호보조 업무에 종사할 수 있다.

2. 의료법 제80조 제2항은 간호조무사의 자격인정과 업무한계 등에 필요한 사항을 보건복지부령으로 위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령 '간호조무사 및 의료유사업자에 관한 규칙' 제2조 제1항에서는 간호조무사의 업무범위를 간호 보조업무뿐 아니라 진료 보조업무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조무사는 동 규칙에 따라 간호사의 업무영역이라 볼 수 있는 진료보조업무에 종사할 수 있다.

시험일정: 매년 상반기 3월, 하반기 9월 (1년에 2회 실시)

시험정보

응시자격

고졸 이상의 학력자로 740시간 이상의 학과교육과 의료기관 또는 보건소에서 780시간 이상의 실습과정 (종합병원이나 병원에서의 실습시간 400시간 이상)을 이수한 자만이 응시할 수 있다.

※ 정신질환자, 마약·대마·향정신성의약품 중독자, 금치산자·한정치산자 등은 응시할 수 없다.

시험과목

시험종별 시험과목수 문제수 배점 총점 문제형식
필기 3 70 1점/1문제 70점 객관식
실기 1 35 35점

시험과목 상세

시험과목 문제수 시험형식
기초간호학 개요
(치의학기초개론 및 한의학기초개론 포함)
35문항 객관식
보건간호학 개요 20문항
공중보건학 개요 15문항
실기 35문항

※ 법률관련문제는 시험시행계획공고일 현재 시행되는 법령 등을 적용하여 출제되므로 법률개정여부에 주의를 요한다.

합격 기준

• 과목 총점의 60% 이상, 매 과목 40% 이상 득점한 자를 합격자로 한다.

활용정보

취업 분야

🏥 의료기관
  • • 종합병원, 병원, 의원
  • • 보건소, 보건지소
  • • 산후조리원
  • • 산업체 의무실
🏠 복지시설
  • • 노인요양시설
  • • 사회복지시설
  • • 아동복지시설
  • • 유치원

간호조무사 및 의료유사업자에 관한 규칙 제12조에는 간호사에 관한 규정을 준용토록 되어 있어 간호사의 대체인력으로 근무가 가능합니다. 간호인력 부족과 병원의 경영난 등의 이유로 의료기관에서도 간호조무사 채용을 선호하고 있으며, 간호전문인력인 간호조무사는 그 전문성으로 인해 주부재취업에 있어서도 유리합니다.

관련 자격증
자격증 관계도

※ 자격관계도 화살표는 시험의 난이도를 기준으로 구분함.(자격증 취득과는 무관함)

관련 자격증 설명
간호사 간호조무사는 간호사의 간호업무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간호조무사 및 의료유사업자에 관한 규칙 제12조에는 간호사에 관한 규정을 준용토록 되어 있어 간호사의 대체인력으로 근무가 가능하며 업무관련성이 가장 높다.
전문간호사 간호사는 각 전문분야에서 3년 이상의 실무경력을 쌓으면 전문간호사 교육기관에서 2년간의 교육을 받은 후 자격시험을 거쳐 전문간호사 자격을 인정받을 수 있다.
조산사 간호사 면허를 취득한 후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1년의 조산수습과정을 마치고 조산사 국가시험에 합격해 면허를 받으면 조산사가 될 수 있다.
요양보호사 요양보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240시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하지만 간호조무사는 50시간의 교육과정만을 이수하면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